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8

[CodeUp 기초 100제]1035 : [기초-출력변환] 16진 정수 1개 입력받아 8진수로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16진수 정수 1개가 입력된다. (단, 16진수는 영문 소문자로 입력된다.) 출력: 8진수로 바꾸어 출력한다. 내 코드: x = int(input(), 16) print(oct(x)[2:]) 또 다른 풀이: print(oct(int(input(), 16))[2:]) Comment: 입력값과 출력값의 진수가 다르긴 하지만, 풀이 방법은 34번 문제와 같습니다. 2020. 12. 26.
[CodeUp 기초 100제]1034 : [기초-출력변환] 8진 정수 1개 입력받아 10진수로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8진 정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10진수로 바꾸어 출력한다. 내 코드: x = input() x = '0o' + x print(int(x, 8)) 또 다른 풀이: print(int(input(), 8)) Comment: 이번에는 8진수를 10진수로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1032번 문제에서 다룬 것처럼, 진수를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2/8/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b = '0b10111' # 23의 2진수 o = '0o27' # 23의 8진수 h = '0x17' # 23의 16진수 # 10진수로 변환하기 int(b, 2) # 23 int(o, 8) # 23 int(h, 16) # 23 숫자 앞에 붙은 0b, 0o, 0x가 거슬립니다. 입력값에.. 2020. 12. 23.
01.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내가 처음 인공지능 분야에 입문했던 건 2019년 가을이었다. 첫 수업을 맡았던 강사님은 인공지능에 대해 이렇게 정의했다. "기계를 인간처럼 생각하게 만드는 모든 기술의 통칭" 그 때는 그냥 아 그렇구나 하고 넘기고 말았지만, 지금 와서 보면 저 정의는 공학적인 설명을 배제하고 최대한 핵심을 담으려고 노력한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동시에 인간이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리키고 있기도 하다. 생활코딩 가라사대, 공학자들은 작가가 상상한 것들을 현실로 만드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SF문학의 거장이자 로봇 3원칙을 만들어낸 아이작 아시모프를 필두로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상상한 작가들은 무수히 많았고, 그 덕분에 나같은 어린애들은 일찍부터 인공지능에 접할 수 있었다. 소설로, 영화로 애들은 인.. 2020. 12. 17.
00. □□란 무엇인가? 당장 어제, '그럴 듯한' 포스팅을 올리려다 블로그를 방치하게 되는 아이러니에 대해 이야기했었다. 어떻게 하면 좀 덜 그럴듯한 글을 올릴 수 있을까 고민해봤는데, 최근에 가장 크게 웃었던 기사가 생각났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9211922005 [사유와 성찰]“추석이란 무엇인가” 되물어라 밥을 먹다가 주변 사람을 긴장시키고 싶은가. 그렇다면 음식을 한가득 입에 물고서 소리 내어 말해보라. “... news.khan.co.kr 여기서 '추석'을 '인공지능'이라고만 바꾸면 아주 익숙한 문장이 나오게 된다.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아마 IT 교육과정을 시작하는 사람들뿐 아니라 2016년에 알파고 대국을 지켜본 사람들이라.. 2020.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