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8 [CodeUp 100제]1015 : [기초-입출력] 실수 입력받아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실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결과를 소수점 셋 째 자리에서 반올림 해, 소숫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내 코드: f = input() f = float(f) print("%.2f" % f) 또 다른 풀이: f = float(input()) print("%.2f"%f) Comment: 실수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은 앞의 문제와 동일하고, 소수점을 N번째 자리까지만(반올림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아무리 소수점 자릿수가 길다고 해도 jupyter notebook에서는 6개까지만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만, 그것도 너무 길긴 하죠. 소수점 1~2자리까지만 나올 수 있도록 하려면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럴 때 쓰이는 것이 "%.Nf"%입니다. 여기서 N은 출력하고 싶.. 2020. 10. 15. [CodeUp 기초 100제]1014 : [기초-입출력] 문자 2개 입력받아 순서 바꿔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2개의 문자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두 문자의 순서를 바꿔 출력한다. 내 코드: a, b = input().split() x = str(a) y = str(b) print(y, x) 또 다른 풀이: a,b = input().split() print(b, a) Comment: 13번 문제와 비슷하지만, 이번에는 문자를 출력하고, 입력 순서를 뒤집어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원리는 13번 문제와 같습니다. 2020. 10. 13. [CodeUp 기초 100제]1013 : [기초-입출력]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2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두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내 코드: a, b = input().split() x = int(a) y = int(b) print(x, y) 또 다른 풀이: a, b = map(int,input().split()) print(a, b) Comment: 핵심은 split() 함수입니다. input 함수 뒤에 붙여주면, 공백을 기준으로 input된 숫자들을 각자 다른 변수에 저장하지요. 간단한 예시입니다. a, b = input().split() # 3 4 input x = int(a) # x=3 y = int(b) # y=4 print(x, y) # 3 4 map 함수를 이용한 방법도 있는데, map이라는 함수는 input된 값들(.. 2020. 10. 12. [CodeUp 기초 100제]1012 : [기초-입출력] 실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실수값 1개가 입력된다. (단, float로 저장할 수 있는 실수 값만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실수값을 그대로 출력한다. 내 코드: x=float(input()) print("%f"%x) Comment: 앞의 문제에 이은 간단한 입출력 문제입니다. 이번에는 문자가 아닌 실수(float)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문제는 부연설명이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예시를 한번 볼게요. jupyter notebook을 사용했습니다. 윗줄은 입력, 아랫줄은 출력입니다. 다른 예를 볼까요? 문제에는 분명히 '그대로' 출력하라고 했는데, 보다시피 그렇게 안됩니다. 무조건 출력은 소수점 여섯 자리 기준으로 나오네요. 여섯 자리 이하로 입력해도, 여섯자리 이상으로 입력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부분은 좀 언급을 .. 2020. 10. 10.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