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gorithm83

[CodeUp 기초 100제]1030 : [기초-데이터형]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3(풀이 성공)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단, 입력되는 정수의 범위는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이다. 출력: 입력된 정수를 그대로 출력한다. 내 코드: x=int(input()) print(x) 2020. 11. 10.
[CodeUp 기초 100제]1029 : [기초-데이터형] 실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2(풀이 성공) 입력: 소수점 아래 숫자가 11개 이하인 실수 1개가 입력된다. (단, 입력되는 실수의 범위는 +- 1.7*10-308 ~ +- 1.7*10308 이다.) 출력: 입력된 실수를 소수점 이하 11자리까지 반올림하여 출력한다. 내 코드: x=float(input()) print("%.11f" % x) 또 다른 풀이: print("%.11f" % float(input())) Comment: 자릿수를 설정하는 마법의 코드("%.Nf" % 숫자)만 알고 있으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보겠습니다. 보다시피 N값에 따라 소수점 N자리까지의 숫자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 11. 5.
[CodeUp 기초 100제]1028 : [기초-데이터형]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2(풀이 성공)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단, 입력되는 정수의 범위는 0 ~ 4294967295 이다.) 출력: 입력된 정수를 그대로 출력한다. 내 코드: x=int(input()) print(x) Comment: 입력한 정수를 그대로 출력하는 아주 간단한 문제입니다. 2020. 10. 29.
[CodeUp 기초 100제]1027 : [기초-입출력] 년월일 입력 받아 형식 바꿔 출력하기(풀이 성공) 입력: 년월일이 '.'(닷)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년월일을 일월년으로 바꾸어 '-'(대쉬, 마이너스)로 구분해 출력한다. 내 코드: y,m,d=input().split('.') print(d,m,y,sep='-') 또 다른 풀이: y,m,d=input().split('.') print('%02d' % int(d), end='-') print('%02d' % int(m), end='-') print('%04d' % int(y)) Comment: 26번 문제와 비슷하게 split과 print의 sep 옵션을 통해 풀 수 있습니다. str 자료형으로도 푸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만약 int 자료형으로 바꾸어 답을 내고 싶다면 또 다른 풀이처럼 해도 상관없습니다. 2020.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