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CodeUp73 1004 : [기초-출력] 출력하기04(풀이 성공) 입력: 없음 출력: 'Hello' 내 코드: print('\'Hello\'') 또 다른 풀이: print("'Hello'") Comment: 계속 print 함수에 대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string(문자열)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예시를 보겠습니다. # 작은따옴표 print('Hello') => Hello # 큰따옴표 print("Hello") => Hello 보시다시피 어떤 따옴표를 사용하더라도 똑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그저 string을 나타내는 것만이 목적이라면 두 개 중 뭘 써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여는 따옴표와 닫는 따옴표는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죠? 어느 쪽이든 컴퓨터는 string이라 인식할 것이고.. 2020. 3. 6. 1003 : [기초-출력] 출력하기03(풀이 성공) 입력: 없음 출력: Hello World 내 코드: print('Hello\nWorld') 또 다른 풀이: print('Hello', 'World', sep='\n') Comment: 계속해서 print() 함수의 활용 문제입니다. 처음 코딩을 배울 때 줄바꿈하는 법을 몰라서 난감했던 적이 다들 있으실 거예요. '\n'만 써주면 간단히 줄을 바꿔 출력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예시에서처럼, 문장 가운데 줄을 바꿔주고 싶은 부분 뒤에 써줘도 되고, print 함수 안의 sep 옵션으로 줄 수도 있습니다. sep, sep 옵션의 어원은 separator(구분자, 분리하는 사람)입니다. 예시를 보겠습니다. # 기본값 print("You", "complete", "me") => You complete me.. 2020. 3. 5. 1002 : [기초-출력] 출력하기02(풀이 성공) 마지막 코멘트에 쓰인 예시는 영화 다크 나이트에서 조커가 레이첼을 보고 했던 대사입니다. 번역은 '안녕, 예쁜이' 정도인데 별다른 문장이 생각이 안나서 사용해봤습니다ㅋㅋ 입력: 없음 출력: Hello World 내 코드: print('Hello World') 또 다른 풀이: print('Hello', 'World') Comment: 1번과 마찬가지로 print()함수의 기본 사용법만 안다면 쉽게 풀수 있는 문제입니다. 더해서 여기서는 '공백'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print('Well Hello Beautiful') => Well Hello Beautiful 보시다시피 문장 전체를 작은 따옴표로 묶어 한꺼번에 string으로 만들면 공백까지 그대로 출력됩니다. 가장 단순한 방법이고,.. 2020. 3. 5. 1001 : [기초-출력] 출력하기01(풀이 성공) codeup 문제의 상당수는 어떤 조건의 수나 문자를 입력하고(Input), 코드에 따라 정해진 결과(Output)를 도출하는 문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구체적인 문제 내용을 적기보다는 그냥 입력과 출력, 두 가지로 구분해 문제를 설명하고, 제 답변과 답변에 쓰였던 기본 코드들을 설명할 것입니다. 그 편이 알아보기도 쉽고 편해서. 그럼 첫 번째 문제입니다. 입력: 없음 출력: Hello 내 코드: print('Hello') Comment: 파이썬에서 가장 기초적인 print()함수를 활용해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print() : 문자나 숫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 # 문자 출력 예시 print('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숫자 출력 예시 print(20200303) => 2020.. 2020. 3. 3. 이전 1 ··· 15 16 17 18 19 다음